MY MENU

국가고시 특강자료실

제목

한방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1.31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1311
내용

한방간호의 내용

한방간호의 가장 오래된 문헌은 소문(素問)장기

법시론이다.

(1) 동양의학의 주요특징

생명현상을 정신. 육체적인 면을 병행하여 고찰

하되 모든 병인, 증후, 치료에 있어서 정신적인 면에

치중한다.

인간을 대자연에서 파생된 하나의 소우주로 간주

하였다. , 인체에 나타나는 생리현상. 병적 변화현

상을 대자연의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았

.

임상치료면에서 인체의 생리나 병변현상을 전체

적이며 종합적으로 관찰, 인체를 상호연관과 유기적

인 기능을 통일체로 보기 때문에 연제나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생명체로 관찰한다.

(2) 한방간호의 역할

정신간호: 한방간호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점은

환자의 정신(마음가짐)으로 희(), (), ()

(), (), (), ()의 칠정(七情)의 환자의

질병과 관련이 있다.

음식간호: 병의 증세에 따라 선택한다.

마음의 병은 온식(溫食)을 금하며 폐의 병은

한식(寒食)을 금한다.

간의 병은 신(, 매운 것)을 금하고, 마음의 병

은 함(, 짠 것)을 금하고, (, 비장)의 병은

(, 신 것) 금하고, (, 신장)의 병은 감(,

단 것)을 금()하며, ()의 병은 고(, 쓴 것)

를 금한다.

(3) 제형(齊型): 용기 중에서 약물을 넣고 물을 부어

가열하여 성분을 삼출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급성질환에 많이 응용되며 증상에 따라 용량을 가감

할 수 있다.

탕제(湯劑, 煎劑): 용기 중에서 약물을 넣고 물을

부어 가열하여 성분을 삼출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

으로 급성질환에 많이 응용되며 증상에 따라 용량

을 가감할 수 있다.

산제(散劑): 마른 약제를 균등한 세말(細末)로 하

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것이다.

환제(丸劑): 각종 약물을 분쇄하여 세말로 한 후

꿀이나 물 또는 풀 등 기타 결합제를 가하여 일정한

크기로 환약(丸藥)을 만드는 것으로 주로 만성질환

에 응용된다.

고제(膏劑): 약물에다 물을 가하고 달여서 찌꺼기

를 제거하고 다시 진하게 달여 꿀이나 설탕 등의 보

조물을 넣고 농축시킨 반유동(半流動)의 상태로 만

든 것이다. 내복과 외용 두 종류가 있다.

주제(酒劑): 약물을 알코올 용액이나 양조주 등에

담그고 유효성분을 삼출시켜 복용하는 것이다.

정제(錠劑): 약물을 세말로 하거나 유효성분을 추

출하고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가하여 정제를 만드는

것이다.

엑시스: 약물의 유효성분을 전출한 약액을 농

축시켜 약물의 일정 용량의 가용성 성분을 제품의

일정하게 함유되도록 한 것이다.

(4) 탕제의 복용방법

약을 먹는 횟수는 보통 1회나 3회로 한다.

위장에 자극을 주는 약은 식사 직후 복용한다.

구토할 때에는 조금씩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복용

시킨다.

독성이 있는 약을 복용할 경우 처음엔 조금씩 먹

는다.

일반적으로 따뜻하게 복용함이 좋다.

주로 급성질환에 사용한다.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나면 횟수를 줄이거나 복

   용량을 줄여본다.

(5) 진단법

맥진: 전승의학의 여러 가지 진단법 중에 가장

우위를 차지하고, 경락의 허실을 파악하기 위한 결

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심장박동에 의해 생긴

파동이 동맥파를 따라 말초로 전파될 때 요골동맥

상에서 지두로 촉진하여 질병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행위이다.

맥진계는 주로 요골동맥에 부착하여 요골동맥의

측맥파를 기록한다.

오장육부와 오관. 오축

(1) 오장육부(五臟六腑)

인체내부 장기를 5() 6()로 나누는데, 5장은

(), (), (), (), ()을 말하고, 6부는

(). 소장(小腸). ().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를 말한다.

오장(五臟)

(): 피를 만들고 신()을 간수하는 곳으로

인간의 중심이다.

(): ()에서 생긴 피를 간수하는 곳으로,

여성의 생식기와 관련이 깊다.

(): 피를 조정하고 순환을 총괄하는 곳이며

또한 음식물에서 영양분을 받아 들여 전신에 보내

는 작용을 한다.

(): ()를 다스리는 곳이다.

(): 인간의 정()에 관계되는 곳으로, 남성

의 생식기능과 관련이 깊다.

육부(六腑): 육부란 위(), 소장(小腸), 대장(大 腸),

방광(), (), 삼초(三蕉)를 가리킨다.

오장육부의 표리관계: () - () , ()

- 방광(), () - 대장(大腸), () - 소장(小 腸),

() - ()

(2) 오관(五官). 오축(五畜)

오관(五官): , , , (), 피부의 5가지 감

각기관으로써,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뜻한

.

오축(五畜): 소문의 생기통천론 生氣通天論

오행학설[()를 기준]에서는 오축(五畜)을 계(

), (, ), (, ), (, ), (, 돼지)

으로 분류하고 있다.

() = (): 간호(肝虛)에 좋다.

() = (): 심허(心虛)에 좋다.

() = (): 비허(脾虛)에 좋다.

(= (): 폐허(肺虛)에 좋다.

() = (): 신허(腎虛)에 좋다.

침의 사용

(1)

목적

침을 이용하여 경락상의 경혈점을 자극 치료한

.

오장육부의위 기와 혈의 기능을 조정해 줌으로 써

질병을 치료한다.

원리: 반사작용(反射作用), 유도작용(誘道作用),

항분작용(亢奮作用), 억제작용(抑制作用), 진정(

) 작용

적응증

소아과적: 경기나 경련에 특효가 있다.

내과적: 호흡기계의 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이

나 합병증이 없는 경우의 천식, 소화계의 딸꾹질,

위하수, 급만성 위염, 위산과다, 만성 십이지장 궤

양의 동통완화, . 만성 대장염, 변비, 설사,

마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특효가 있다.

신경정신과적: 우울 신경증, 불안 신경증, 수면

장애 등의 영역에 효과가 있다.

골관절 근육계: 두통, 편두통, 삼차신경통, 류마

티스 관절염, 소아마비 후유증, 메니에르병, 신경성

방광, 늑간 신경통, 오십견, 테니스 엘보우, 좌골신

경통, 요통, 각종 디스크 질환에 매우 탁월한 효과

가 있다.

부인과적: 월경통이나 출산시 진통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분만 촉진과 태아의 위치조정 등에도 유

효한 효과가 인정된다.

. 이비인후과적: 결막염, 눈다래끼, 합병증이

없는 백내장이나 어린이사시 등의 눈의 질환과 부

비동염, 비염 등의 비질환, 인후염과 같은 인후질환

이명, 난청 등의 귀의 질환에도 특효가 있으며 치

, 발치 후의 치통, 치은염 등의 치과영역에도 유

효하다.

가장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는 분야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의 장애에 의한 마비질환(중풍, 안면 신

경마비 등) 이다.

금기 사항

일반적 금기: 몹시 피로했을 때, 배가 몹시 부

를 때, 몹시 배가 고플 때, 갈증이 심할 때는 침을

놓지 말아야 한다.

생리 해부상의 금기: 안구, 고막, 심장, ,

, 고환, 외생식기, 유두 등에는 침을 놓지 않거나

침을 놓을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할 곳은 임신 2~3

개월 임산부의 하복부나 요부 및 천골 부위, 임신

5개월 이상은 상복부의 침을 금한다.

병리적 금기: 급성 심장질환, 출혈이 있을 때,

암환자에게도 암조직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암 조직

을 피해서 놓는다.

침 시술을 받는 환자의 간호

환자 상태를 관찰하여 현훈이 나타나면 의사에

게 알림

유침시간 동안 환자의 체위를 일정하게 유지한

.

발침 후 알코올 솜으로 침공 부위를 가볍게 누

르거나 문지르고 출혈시에는 피가 멈출 때까지 눌

러준다.

체위는 누운 자세가 좋으며 발침 후 남은 침은

없는지 살핀다.

기온이 내려가고 방안의 공기가 낮은 경우 치료

시 노출 피부 면을 적게 하거나 적당히 치료시간을

단축한다.

침치료시의 부작용: 혈종, 부종

(2) 구법 (灸法, )

연화(然火)의 세력을 직접 경락혈위(經絡穴位)에 가

하여 소작. 자극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뜸의 작용: 중혈작용, 면역작용, 반사작용, 유도

작용, 신진대사 작용, 혈액순환 작용, 진통. 진정 등

의 억제작용과 지각신경. 운동신경. 자율신경 등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항분작용 등

구법(뜸요법)의 적응증상과 범위

내장(內臟)이 한()하고 복부가 창만(脹滿)하며

무력성 및 허약성의 장질환이나 신장. . 자궁 등

의 내장질환이 발생한 경우

국부의 경맥이 움푹 들어가거나 맥락(脈絡)

단단하게 뭉친 곳, 즉 퇴행성 및 과로성의 근.

격계 질환

전신이 모두 허()한 경우

발에 냉증이 있어서 맥증의 혈()이 얼어붙은

경우로서 노인성 또는 허한성(虛性)으로 손발과 관

절에 나타나는 신경계. 혈관계 질환

경락에 허실이 섞여 있는 경우

등의 큰 근육이 있는 혈()자리

50대 이후에 나타나는 남녀의 비뇨생식기 계통

의 허약 및 갱년기성 변화와 어깨. 팔의 종기나 궤

양 등 음증(陰證)

뜸 놓을 때 주의사항

국소부위가 마비된 환자에게 시행시에는 특히

화상에 주의하도록 한다.

뜸 치료 중에는 다른 부위를 화상케 하거나 의

복을 태우지 않도록 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얼굴에는 뜸을 뜨지 않도록 한다.

고열 환자에게도 뜸을 않아야 한다.

주취 중, 또는 임산부의 복부, 요천부에는 뜸

치료를 금한다.

뜸 뜬 후에는 수포가 생기므로 수포가 적은 것

은 곪지 않고 저절로 말라 버리지만 수포가 크면

주사기로 뽑아 낸 후 소독약을 바르고 붕대를 감는

.

뜸의 금기 및 합병증

일반적 금기: 대체로 침의 금기와 같다.

생리 해부상 금기: 얼굴에 반점이 생기는 뜸은

놓지 않는 것이 좋으나 심장부나 혈관이 드러나 곳

에도 뜨지 않는다. 임산부위 하복부에는 뜸을 일체

금한다.

병리상 금기: 급성 복막염, 열성 질환 등은 뜸

을 뜨지 않는 것이좋다.

양생술(養生術)

양생술의 정의: 질병을 에방하고 장수하기 위하

여 여러 가지 생활 규칙을 지키고 몸을 다스리는 방

법으로서,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 가꾸기 위

한 기술이다.

양생술의 목적: 기후조건에 적응하고 음식섭취를

절제하며 적절한 노동과 휴식, 영양공급, 규칙적인

생활, 체력단련, 스트레스의 예방, 감정조절 등의 올

바른 섭생(攝生)을 통하여 몸과 마음에서 사소한 장

애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질병이 생길 조건을

만들지 않는데 있다.

양생의 내용: 자연에 순응, 심신의 안정, 음식의

절제, 규칙적인 생활 등이 있다.

자연요법관리

부항요법

간접적으로 화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출혈성

증상이 심한 사람에겐 부항치료를 삼간다.

목적 및 효과

신경의 조화 안정으로 수면을 개선시킨다.

인체 내의 정체되어 있는 독소 요인의 찌꺼기를

체외로 배출시킨다.

혈행의 촉진되어 항병력의 증진효과가 있다.

근육의 통증을 풀어주고 자각 증상을 없애준다.

피가 맑아지고 기혈의 소통이 잘되어 적혈구,

혈구의 증혈이 촉진된다.

부항요법의 적응증

결핵성 질환: 폐조직 울혈 제거, 감기

순환기질환: 고혈압, 동맥경화증, 중풍 등

신경계질환: 류머티즘질환, 좌골신경통, 디스크,

치통, 안면신경마비, 견갑신경통, 근육통, 요통, 교상

부인과질환: 월경통, 월경과다, 월경장애, 대하증

근종, 불임증

소화기질환: 변비, 장무력증, 하복부 냉감, 만성

소화장애, 충수염, 위염설사, 소화불량

부항요법의 금기

임산부의 복부, 천골부, 요부 등에 금하고, 정맥

류 환자에 금한다.

심계항진, 피부질병, 고열, 출혈성 질환에 금한 다.

혈관이 많은 곳이나 눈. . . 귀 등은 피한다.

몸이 수척하고 피부가 탄력이 없으며 빈혈증이

있는 환자는 금한다.

치료 시 주의사항: 자연식 병용, 서서히 체력에

적응되도록 훈련, 치료 후 피곤하기 때문에 2~3

휴식기를 갖는다. 명헌이 일어나면 압력과 횟수를

감소시킨다.

추나요법(推拿療法, 수기요법)

추나의 작용: 음양을 조화시키고(음양조적기능),

경락을 소통시키고, 기와혈을 활성시키며(혈액순환

촉진), 근경련 상태를 개선시켜주고(체질강화), 관절

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한다.

추나의 유의사항: 월경기, 임신기에는 복부나 요

천부 등의 추나 치료가 불가, 공복시나 식후, 술에

취한 경우나 정신이 흥분된 경우에도 삼간다.

수기요법의 기본요령

지구: 수기요법을 일정기간 동안 지속시키는 것

을 말한다.

유력: 수기용법을 하는데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일정한 힘으로써, 환자의 체질. 병증. 부의 등을

분별하여 힘을 가감해야 한다.

균등: 수기요법의 동작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유화: 수기요법을 유연하고 경쾌하게 하는 것으

, 힘을 천천히 가하되 위로 뜨지 않게 하고,

을 무겁게 주되 너무 한곳에 치우치지 않게 하며

동작을 자연스럽게 변화시킴을 의미한다.

수치료법(냉온요법, 수욕요법)

수욕요법의 치료의학적 작용: 자극과 진정작용,

혈액정화 및 순환촉진작용, 해독과 중화작용

시행요령: 욕조의 온도는 냉탕이 16전후,

탕의 온도는 42전후가 가장 이상적이다.(순환기

질환자, 노인환자는 냉탕30, 온탕40로 온도차

10내로 한다.)

냉요법의 목적: 통증경감, 부종예방, 혈관수축,

근육긴장도 증가

수치료법의 적응증과 금기증

적응증: 만성질환(만성소화기 질환, 고혈압, 비만

, 노이로제, 당뇨병, 중풍, 신경통, 류머티즘성 질

)

금기증: 중증심장질환

수치료법의 주의사항

. 온욕실은 깨끗이 청소하고 사우나와 환풍기

를 꺼서 화재사고를 예방한다.

매일 냉. 온탕시 비누를 사용할 경우 vitamin

A, D 결핍과 신경과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한다.

한증요법(발한요법): 동야의학에서는 온보, 소염

등의 효과까지 곁들이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하며 서

양에서는 발한으로 체중조절하거나 노폐물 배설촉진

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등 동서고금을 통한 공통적

치료원리로 이용되어 왔다.

물리요법의 간호관리: 마비환자의 간호, sling(

치나 부착, 착용 상태 확실)

체질(사상, 四象)의 정의 및 원리

(1) 사상의학(四象醫學)

정의 및 유래: 사상의학이란 사람의 체질을 넷으

로 구분하고, 각 체질에 따르는 생리. 병리. 약리를

설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의학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한의학과는 달리 사람을 태양인(太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양인(小陽人), 소음인(小陰人)

네 가지로 분류하여 질병치료의 방법과 식이요법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원리 및 특징

태음인(太陰人)의 특징

욕심이 많고 성격이 무뚝뚝하지만 점잖다.

수족이나 입술이 크고, 골격이 장대하며, 피부가

약간 검고 두터운 반면 가슴부분이 빈약하고 복부

가 견실하다.

폭음, 폭식, 편식이 없으며, 식성이 좋다.

고혈압, 중풍, 피부질환, 간질환 등이 있고 호흡

기와 순환기계가 약하다.

간대폐소(刊大肺小)의 특징을 갖는다.

, 도라지, 연근, 고사리, , , 율무, 녹용,

, 쇠고기, , , 호도 등이 많다.

소양인(小陽人)의 특징

식성은 차고 시원한 것을 좋아한다.

손발이 항상 뜨겁고, 피부는 땀이 적으며, 가슴이

넓고, 하체는 약한 편이다.

비대신소(脾大腎小)의 특징을 갖는다.

성기능이 쇠약하고, 비뇨생식기 질환, 요통, 구토

등이 있으며 비뇨생식기 및 내분비선 기능이 약하

. 여자는 다산(多産)하지 못한다.

수박, 참외, 포도, 배추, 오이, 가지, 호박, 보리,

, 녹두, 숙지황, 돼지고기, , 해삼, 새우, 전복

등이 좋다.

태양인(太陽人)의 특징

과단성과 진취성이 강하고 재주가 많으며 사교적

이다.

기대거나 눕기를 좋아하고, 허리나 척추가 약하

여 오래 앉지 못한다.

맵고 뜨거운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다.

위암, 식도협착, 식도경련이 자주 발생한다.

폐대간소(肺大刊小)의 특징을 갖는다.

포도, , 앵두, 다래, 모과, 메밀, 채소류, 오가

, 새우, 조개류 등이 좋다.

소음인(小陰人)의 특징

내성적 성격으로 깔끔하고 착실하며 매사에 치밀

하고 인색하다.

상체보다 하체가 견실하여 엉덩이가 넓고, 수족

은 작은 편이며, 피부가 부드럽고 매끄럽다.

편식이 있고 더운 음식을 좋아한다.

소화불량, 설사, 노이로제, 히스테리, 불면증 등

이 있고, 소화기계와 정신계 질환이 잘 발생한다.

신대비소(腎大脾小)의 특징을 갖는다.

대추, 사과, 복숭아, 시금치, 미나리, 양배추,

, , 인삼, 육계, , , 명태, 고등어 등이 좋

.

(2) 체질에 따른 한방간호

()계병의 간호

너무 짠 음식은 신()을 상하게 한다.

음식은 자양 보신하는 산돼지, , 돼지 신장,

척수, 자라 등이 좋다.

부부관계를 절제한다.

피로가 적어야 하고 휴식에 주의한다.

()계병의 간호

매운 것, 담배, , 너무 달거나 짠 음식은 피

한다.

외계(外界)의 사기(邪氣)가 침입하는 것과 관계

가 있다.

()계병의 간호(위장, 소화계통의 질환)

변비일 때는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

유지, 경고, 점체류 음식물, 생냉한 과일은 피한

.

익혀서 부드럽고 물렁한 것으로 먹는다.

음식의 양과 횟수를 줄여 여러 번 먹는다.

폭음, 폭식을 피하고 평상 시 보온에 주의한다.

음식은 반드시 절제하여 정시에 정량을 들도록

한다.

()계병의 간호(주로 정신적 병변을 반영함)

동물의 간과 소, , 돼지의 족발을 많이 먹는

.

기름기, 매운 자극성 등의 화기를 동하게 하는

음식을 피한다.

크게 노한 후 정신이 분명치 않게 되고 갑자기

현기증이나 기절, 중풍 증세가 나타난다.

간호원칙은 정신간호”(소문: 음양응상대론편

노하면 간이 상한다)가 된다.

감정이 편안해야 하고, 우울하고 번뇌가 있으면

안 된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